“Internet of Things”
직역하면 “사물인터넷”으로 우리 주변 사물을 ‘통신 기능’과 접목해 인터넷과 연결하고, 이를 통해 상호 제어가 가능하도록 만든 것으로 이미 스마트TV, 스마트냉장고 등 가전제품은 물론이고 인터넷과 멀어 보이는 화분, 팔찌, 의료기기도 사물인터넷화 되어 있어 주변에서도 흔히 만나볼 수 있습니다.
다만 최근 IoT 뜻과 개념은 더 구체화되었는데
오늘날 IoT 뜻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다른 시스템이나 기기와 연결할 목적으로 소프트웨어, 센서, 기타 기술을 탑재한 사물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수집된 데이터는 분석과 처리 과정을 거쳐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거나 자동화하는 데 활용됩니다.
이 과정은 아래와 같이 4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자동화 효율성 생산성등이 있는데
IoT 기기를 사용함으로써 문제점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문제점 인 보안 문제가 있습니다.
장치가 인터넷에 연결된 경우 공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다양한 정보를 가져오는 검색엔진입니다.
ex ) 장치의 IP, 서비스 중인 Port, 운영체제,애플리케이션 버전 등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민감한 정보를 쿼리할 수도 있기 때문에 사이버 범죄 등 불법적인 일에 사용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
즉, 윤리적인 책임감을 가지고 사용하여야 한다.
키워드 | 설명 | 예시 |
City | 특정 도시 내 검색 | city:”Seoul” (서울에 있는 장치 검색) |
Country | 특정 국가 내 검색 | Country:”KR” (한국에 있는 장치 검색) |
Geo | 특정 위도/경도 근처 검색 | geo:37.5665,126.9780 |
Hostname | 해당 호스트 네임에 대한 검색 | hostname:google (호스트 네임에 구글이 포함되는 장치검색) |
Net | 네트워크 ip 대역 기준 검색 | net:128.0.0.0/24 (해당네트워크대역에 연결된 장치 검색) |
Os | 해당 OS에 대한 검색 | os:” Windows 7″ (Windows 7을 사용하는 장치 검색) |
Port | 해당 포트에 대한 검색 | port:21 (해당포트가 오픈된 장치 검색) |
Before/after | 해당 날짜 전/후에 대한 검색 | before:26/02/2023 |
Title | HTML의 title과 일치하는 정보 검색 | title:"naver.com" |
Product | 소프트웨어나 제품의 이름을 기준으로 검색 | product:"cisco" |
version | 특정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가진 장치를 검색 product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
product:nginx version:1.10.3 |
http.component | 기반 컴퍼넌트 검색 | http.component:"php" |
vuln | 특정 취약점을 가진 장치 검색 보안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 월 359$ 이상 멤버쉽 요금제 사용 시 사용할 수 있다. ) |
vuln:CVE-2019-0708 CVE-2019-0708 취약점이 있는 장치 검색할 수 있다. vuln:exploitdb Exploit Database에 등록된 취약점 정보가 있는 장치를 검색할 수도 있다. |
위 검색어등을 활용하면 아래의 사진처럼
SSH, http, https 포트가 열려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면 각각의 버전 역시 알 수 있다.
버전을 알 수 있다면 그 버전에 취약한 해킹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만약 버전이 낮은 서버가 있다면 그 버전에 따른 해킹 공격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침해 대응 & CERT 과정_6주차] (0) | 2024.03.06 |
---|---|
[침해 대응 & CERT 과정_5주차] (0) | 2024.03.06 |
[침해 대응 & CERT 과정_3주차] (0) | 2024.03.06 |
[침해 대응 & CERT 과정_2주차] (0) | 2024.03.06 |
[침해 대응 & CERT 과정_1주차] (0) | 2024.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