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SL(Secure Sockets Layer) (포트번호:443)
넷스케이프사에서 전자상거래 등의 보안을 위해 개발한 보안 프로토콜로
나중에 TLS(Transport Layer Security)로 대체되었지만 SSL이라는 용어는 여전히
이러한 유형의 기술을 가리키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네트워크 레이어의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권한이 없는 당사자가 민감한 데이터를
가로채거나 읽을 수 없도록 두 애플리케이션 간에 보안 채널을 제공하는 보안 프로토롤로
HTTP 뿐만 아니라,NNTP, FTP등에도 사용됩니다.
- 즉 HTTPS는 HTTP+SSL
https://mpit.tistory.com/entry/TCPUDP
IP (Internet Protocol)
-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컴퓨터와 구별될 수 있는 고유번호 부여
-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하는 역할
- IPv4에서 IPv6로 전환 진행중
IGMP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IP 멀티캐스트 그룹의 구성원을 관리하기 위해 라우터와 호스트에서 사용
-IP 라우터에서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하는 호스트를 파악 후
해당 호스트로만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전달하는 데 사용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오류 메시지를 보내고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 ICMP 오류 메시지는 네트워크 문제를 진단하고 네트워크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데 유용
- 오류메세지는 아래의 표와 같으며, 굵은표시의 메세지가 가장중요
Type | Message | 설명 |
0 | Echo Reply | Echo 메시지의 응답(ping의 응답) |
3 | Destination Unreachable | 도달 불가 에러(Code에 더 자세한 에러사유) |
4 | Source Quench | 혼잡 통제의 용도 |
5 | Redirect | 더 빠른 경로가 있다고 알림 |
8 | Echo Request | Echo 메시지의 요청(ping의 요청) |
11 | Time Exceeded | TTL(time-to-live)이 초과된 경우 |
30 | Traceroute | 해당 라우터까지 가는 경로 체크용 |
15~18 | 정보 주고 받기 관련 | DHCP가 이 역할을 대신함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목적지 호스트 IP주소는 아는데, MAC주소를 모를 경우 사용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
수신자에게 MAC 주소 요청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목적지 호스트 MAC주소는 아는데, IP주소를 모를 경우 사용
MAC주소를 IP주소로 변환
수신자에게 IP주소 요청
[리팩토링_8주차] 미탐,오탐,정탐 (0) | 2023.03.03 |
---|---|
[리팩토링_7주차] DDoS, Firewall, IDS 와 IPS (0) | 2023.03.03 |
[리팩토링_6주차] 계층별 프로토콜(1) (0) | 2023.03.03 |
[리팩토링_5주차] OSI 계층별 장비 (0) | 2023.01.30 |
[리팩토링_4주차] TCP&UDP (0) | 2023.01.30 |